소방안전관리자/개념 + 문제풀이

1급 소방안전관리자 - 공사장 안전관리계획 및 화재위험 관리를 알아보자!!!

소방의바이블 2024. 4. 13. 12:50
반응형

 안녕하세요 소방의 바이블입니다.

 오늘은 공사장 안전관리계획 및 화재위험 관리에 대해 정리해 보겠습니다. 공사장 안전관리는 2023년 1월에 새로 신설된 내용입니다. 앞으로 일정 규모 공사장도 소방안전관리자를 배치해야 할 만큼 매우 중요한 내용일 거 같습니다.

1. 법적 근거와 적용 범위

- 건설기술진흥법과 산업안전보건법은 크고 작은 모든 공사 현장의 안전 관리를 목표로 제정되었으나, 소규모 또는 부분 공사의 경우 이 법률의 적용을 받지 않아 안전 관리가 소홀해질 위험이 있습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보완적인 법적 조치가 필요함을 시사합니다.

2. 임시소방시설의 설치와 중요성

- 소방시설 설치 및 관리에 관한 법률에 따라 공사현장에는 소화기, 간이소화장치, 비상경보장치, 가스누설경보기 등의 임시소방시설이 설치되어야 합니다. 이는 화재 발생 시 초기 대응을 가능하게 하며, 화재 확산을 방지하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3. 화재 발생 원인 및 예방

- 공사현장의 화재 위험요인 : 용접작업이나 가설전기 사용 등으로 인한 화재가 자주 발생합니다. 이러한 위험을 관리하기 위해서는 공사현장에서 철저한 안전 감독과 위험관리가 필수적입니다.
- 화재 유형 : 전기화재, 방화, 가설건축물 화재, 작업자의 부주의 등 다양한 화재 유형이 존재하며, 각 유형에 따른 특정 대책과 예방 조치가 요구됩니다.

4. 안전관리계획의 구체적 요소

- 안전관리계획서는 공사 전반에 걸쳐 안전 및 보건 관리를 체계화하기 위해 필수적입니다. 계획서에는 공사장의 개요, 안전 관리 조직, 각 공종별 안전 점검 계획, 주변 안전 관리 대책 등이 포함되어야 합니다. 이는 공사 진행 중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위험으로부터 인력과 재산을 보호하기 위한 것입니다.

5. 고위험 작업 관리

- 화기작업 : 화재 위험성이 높은 작업으로, 이를 최소화하고 대체할 수 있는 방법(예: 기계적 볼팅, 수동 수압 절단 등)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것이 권장됩니다.
- 화기작업금지구역 : 가연성 물질이나 인화성 가스가 많은 구역에서는 화기작업을 금지하고, 해당 지역을 철저히 관리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6. 교육 및 훈련의 중요성

- 근로자의 안전교육과 화재진압 훈련을 정기적으로 실시하여, 실제 화재 발생 시 신속하고 효과적인 대응이 가능하도록 준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러한 훈련은 현장의 소방 안전관리자가 주도하며, 화기작업 시 필요한 특별한 주의사항을 교육하는 것도 포함됩니다.

용어 추가 설명
- 임시소방시설 : 일시적으로 설치되어 화재 발생 시 초기 대응에 사용되는 소방 설비입니다.
- 방화 : 고의적으로 불을 지르는 행위로, 공사현장에서는 외부인의 접근 용이성으로 인해 발생 위험이 높습니다.
- 가설건축물 : 일시적으로 설치되는 건축물로, 공사 현장의 사무소, 식당 등으로 사용됩니다.

공사장 소방안전 문제

7. 공사장 소방안전 문제 (3문제)

반응형

 

문제 1: 공사 현장에서 화재 예방과 초기 대응을 위해 설치되는 장치는 무엇입니까?
정답입니다. 임시소방시설은 화재 발생 시 초기 대응에 사용되는 소방 설비로, 소화기, 간이소화장치, 비상경보장치, 가스누설경보기 등을 포함합니다. 이 장치들은 화재 확산을 방지하고 신속한 대응을 가능하게 합니다.
오답입니다.
문제 2: 공사현장에서의 안전 관리 및 화재 예방을 위해 법적으로 요구되는 행동 중 하나는 무엇입니까?
정답입니다. 화기작업금지구역은 가연성 물질이나 인화성 가스가 많은 구역에서 화기작업을 금지하고 철저히 관리하는 안전 조치입니다. 이는 공사 현장에서 발생할 수 있는 화재 위험을 줄이기 위해 매우 중요합니다.
오답입니다.
문제 3: 공사 현장에서 화재 위험성이 높은 작업을 최소화하기 위한 권장 사항은 무엇입니까?
정답입니다. 화재 위험성이 높은 화기작업을 최소화하기 위해 기계적 볼팅이나 수동 수압 절단과 같은 대체 작업 방법을 사용하는 것이 권장됩니다. 이러한 방법은 화재 발생 가능성을 크게 줄일 수 있습니다.
오답입니다.
반응형